'2008'에 해당되는 글 12건

  1. 2009.04.29 Grand Piano
  2. 2009.04.29 Projector Test
  3. 2009.04.28 Persistent Boy_triptych
  4. 2009.04.27 Evenings
  5. 2009.04.27 busy with eating
  6. 2009.04.26 The Moment When Everyday Reality Reveals Itself_Daebum Lee
  7. 2009.04.26 일상적 현실이 모습을 드러낸 유일한 순간_이대범
  8. 2009.04.26 DJ booth
  9. 2009.04.26 On Jina Park’s Paintings_Hyunjin Kim
  10. 2009.04.26 박진아 회화에 대하여_김현진

Grand Piano

|


Grand Piano, oil on canvas, 200X250cm, 2008    Private Collection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jector Test  (0) 2009.04.29
Persistent Boy_triptych  (0) 2009.04.28
Evenings  (0) 2009.04.27
busy with eating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And

Projector Test

|


 Projector Test, oil on canvas, 200X245cm, 2008    private collection 



 Projector Test, oil on canvas, 220X270cm, 2008    private collection


As you can see, there are two versions of Projector Test.  The smaller one was done first.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nd Piano  (0) 2009.04.29
Persistent Boy_triptych  (0) 2009.04.28
Evenings  (0) 2009.04.27
busy with eating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And

Persistent Boy_triptych

|



 Persistent Boy 01, oil on canvas, 162X120cm, 2008


 Persistent Boy 02, oil on canvas, 162X130cm, 2008


 Persistent Boy 03
, oil on canvas, 162X120cm, 2008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nd Piano  (0) 2009.04.29
Projector Test  (0) 2009.04.29
Evenings  (0) 2009.04.27
busy with eating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And

Evenings

|


 The Long Evening, oil on canvas, 168X180cm, 2007    Private Collection



 Everybody's Leaving, oil on canvas, 225X155cm, 2008 



Sleeping at the Corner, oil on canvas, 100X80cm, 2008  Private Collection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jector Test  (0) 2009.04.29
Persistent Boy_triptych  (0) 2009.04.28
busy with eating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DJ booth  (0) 2009.04.26
And

busy with eating

|


 Canape, oil on canvas, 81X100cm, 2007    Private Collection



 The Lettuce Wrap, oil on canvas, 96.5X130cm, 2007   



 Park with Pine Tree, oil on canvas, 110X95cm, 2008



A Man Eating Pizza Under a Persimmon Tree, oil on canvas, 152X115cm, 2008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sistent Boy_triptych  (0) 2009.04.28
Evenings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DJ booth  (0) 2009.04.26
Moontan  (0) 2009.04.22
And

The Moment When Everyday Reality Reveals Itself_Daebum Lee

|
An essay by Daebum Lee(Art Critic)
from Jina Park's Solo Exhibition catalogue, ONE AND J. Gallery, Seoul, 2008
(translated from Korean)

The Moment When Everyday Reality Reveals Itself

  

It goes without saying that when one appreciates a work of art, one simultaneously perceives both the subject in a work of art and how the artist represents this subject.  Of the two, it is much easier to talk about the former as the viewer can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subject matter within conventionally recognized systems of perception.  In this regard, the viewer is confident that he or she is on the same page as the artist as to what the subject is.  It is a completely different story when it comes to discussing the latter, that is, how the artist represents the subject.  Here, all the elements within the conventional based system of perception dream of escape.  This happens both on a conscious and subconscious level since the artists intention works on both a conscious and subconscious plane.  The artists subliminal intention can be found in the artists technique, i.e. the way they paint, thereby allowing the viewer to sense the artists attitudes in ways that go beyond simply view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work.  It is in this space that the disconnect with the viewer and the artist occurs.  When the artist evokes something that lies beyond the cognitive grasp of the viewer, the viewer begins to feel uneasy for being pressured or obliged to see beyond the habitual confines of his or her traditional bounds of perception.  That being said, the viewer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place, for no more reason than the intrinsic meaning of a work inhabits this very place.  So, let us now turn our attention to the works of the artist Jina Park.

 

1. What Is Represented: What can you see in the works? For starters, there are people in particular places (e.g. the open air, a party, a park at night, an exhibition). They do not seem to be engaged in any special activities. Maybe they are taking a rest, eating something, standing around or sitting idly. Whether alone or with other people, the people in the works are situated as such, like nobodies. The artist seems to indicate her acquaintances but this fact seems not to be so important as each are merely someone who engages in an activity.

 

2: How Are the Subjects Represented: What can you see about the subjects? The tracks of brush strokes passing across swiftly on the canvas do not depict every detail of the subjects but represent them only suggestively.  The subjects are settled on the canvas somewhat awkwardly. The viewers’ eyes that could be directed to the represented subjects themselves are instead captured by the traces of the brushes.  Nevertheless, the subjects are not reduced to meaningless things.  While it is true that the subject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he rapidly running brush strokes act to catch momentary memories and feelings.  The colors and tones created by the multiple layers of paint and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s represent the subjects in a simple and more distinct manner.  What are most important are the eyes of the artist. The painter keeps an objective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subjects. She occupies the standpoint of a sheer observer almost as a voyeur even though she paints her acquaintances.  Those who are in the picture planes do not make eye contact amongst themselves. They, as individuals, are just devoted to doing their own things which are in no way special. While lively and clamorous spaces are packed with people, the figures in the space, the people she spends time with, a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like lonely islands. Thus, the artist does not focus on each of the subjects or the relations between them but rather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entimentality created by them. [This is most obviously shown by the Moontan series. A group of people are doing the same thing in the same place, but their activities are not unified as one. The word ‘same’ becomes different or individual.’ At the same time, what the artist depicts is not the subjects she paints (i.e. she is not trying to describe them) but what is outside of them and what she creates is then diffused back to include the subjects that are depicted.]

 

EAT, SLEEP, HAVE VISIONS.

The notions of both ‘what to represent’ and ‘how to represent’ have been constant throughout Park’s earlier work, If there appears a change in this show it is that the divided picture plane moves to a unified one but there is more significance than the fact that two or four pictures planes are merged into one. As is implied by the titles of her past solo shows, Leisure and Excursion, the artist has worked on those trivial actions found in a social system that lauds productivity. These behaviors are particularly exemplified by the figures delicate motions on the canvases. The similar but different four picture planes are suited for expressing not only the temporal difference but also the pictorial one through simple composition and brush work.  They are one, but simultaneously, they are not for the subtle differences in both time and the pictures themselves.
        The divided picture plane is fused into one in the Moontan series. As is suggested by a mat spread in the center, the figures are gathered here for one purpose. However, Park presents them lacking unity: they are scattered and respectively immersed in their own trivial activities. The minute differences found in the divided picture plane are combined in the same picture through different figures. Accordingly, they cannot gather on the mat in the center but hang around it irrespective of their intent to be there. [The dark background occupying the large part of the series has another meaning. It makes the viewer focus on the situation by cutting off the periphery of the canvas. As the figures exist individually and off-center, the space is presented as isolated, floating, and disconnected from the whole].
        In this exhibition, Park chooses only some particular activities and more crowded places. People should meet, talk, smile, and make connections in these spaces but the subjects in Parks paintings deviate from time and space while engaged in their activities.  In the work Everybodys Leaving, when the viewers’ eyes travel along the big table in the center they meet the moment when the figure in the middle is on the brink of eating something. Considering the situation, the room that had previously been filled with many people seems to have just been emptied: there are no people but only the traces of them. All situational aspects are missing and only the figure’s act of eating is emphasized. The space of deviation from the everyday life intersects this most visceral activity. In the work Sleeping at the Corner, a figure who has fallen asleep is leaning back in the chair and also seems isolated from the party. Though placed in the center, the figure is sleeping in a space where the party is undoubtedly being held.  This type of figure who is out of place is also found in the work Man eating Pizza Under a Persimmon Tree. The subject is eating pizza in great haste and the combination of the persimmon tree and pizza is unfamiliar. In a way, the man is out of place where people eat pizza. Unlike the figures in other paintings, the subjects who inhabit the works Projector Test and Grand Piano are together engaged in an activity and even their eyes meet or go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y are overwhelmed by the space. Previously, Park has given weight more to figures than to space and to the behaviors than to the figures. In these two works, space overpowers figures and their acts. The blue light of the projector and the grand piano lying in the center like a coffin create the atmosphere of the whole space.

Jina Park paints moments of everyday life. Thus, they can be easily found by us who live in the same age. However, those moments do not stop as personal ones, but have lingering effects on the viewer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artist does not focus on what to represent but on how to represent. Park presents the most routine moments yet the viewer is unsettled by the provocation caused by the deviation from the common norms of perception to which he is accustomed.  Might these moments be the only moments when the everyday reality of man reveals itself?

 


And

일상적 현실이 모습을 드러낸 유일한 순간_이대범

|
박진아개인전, 원앤제이갤러리, 2008
전시카탈로그 서문


일상적 현실이 모습을 드러낸 유일한 순간

글.이대범 (미술평론가)


당연한 이야기지만, 어떤 작품을 감상할 때 우리는 그것이 ‘재현하는 내용’과 ‘내용을 재현하는 방식’을 동시적으로 인식한다. 이 중에서 상대적으로 쉬운 것은 재현하는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신이 의식할 수 있는 관습적 체계 안에서 모든 것이 이뤄진다. 감상자는 재현자의 탈주를 예방하고, 그곳에서 안도한다. 그러나 중심을 이동 시켜 ‘내용을 재현하는 방식’에 방점을 찍으면 상황은 달라진다. 관습체계에 머무르고 있던 요소들이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탈주를 꿈꾼다. 재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과 전달하지 않고자 하는 작품의 무의식이 ‘내용을 재현하는 방식’에 나타난다. 재현자와 감상자의 미묘한 불협화음은 여기서 발생한다. 감상자의 인식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재현자가 작품에서 환기 시킬 때, 자신의 인식의 바깥을 바라봐야 하는 감상자는 불안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곳에 주목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곳에 작품의 본래적 의미가 기거(寄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박진아의 작품으로 눈을 돌려보자.  


1. 재현하는 내용 :
무엇을 볼 수 있을까? 일단, 특정 공간(야외, 파티, 밤의 공원, 전시장)에 놓인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은 특별한 행동을 하고 있지 않다. 잠시 잠을 자거나, 무언가를 먹는 순간에 있거나, 우두커니 서 있거나 앉아 있다. 혼자 있을 때에도, 사람들이 많을 때에도 그들은 그냥 그렇게 특별하지 않은 존재로 공간에 놓여 있다. 그들은 작가의 주변 인물들로 특정한 누군가를 지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그 마저도 중요하지 않다. 그들은 행동을 보여주고 있는 ‘어떤 인물’에 지나지 않는다.


2: 내용을 재현하는 방식 : 무엇을 볼 수 있을까? 캔버스 위를 빠르게 지나간 붓의 흔적들은 대상을 세세하게 묘사하지 않고 압축적으로 제시한다. 오히려 대상은 화면에 어눌하게 안착해 있다. 재현된 대상에게 향할 수 있었던 시선의 지향점을 붓의 흔적들이 독차지한다. 그렇다고 대상을 무의미한 존재로 환원시키지도 않는다. 분명 대상은 세세한 묘사가 따르지 않지만, 순간의 기억과 감정을 담아내듯 빠르게 지나간 붓질, 그것들이 중층적으로 쌓이면서 만들어 놓은 색과 톤, 그리고 화면의 구성이 대상을 담담하게 그러나 더욱 명료하게 재현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작가의 시선이다. 작가는 대상과 객관적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는 철저한 관찰자 시점에 놓여 있다. 주변 인물, 그리고 그들과 어울리고 있는 시간을 담아내면서도 말이다. 화면 속 인물들은 시선을 공유하지 않는다. 그들은 개별자로서 자신의 일(특별하지 않은 일)에 충실하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의 왁자함으로 가득한 공간을 기표로 사용하고 있지만, 대상들은 외로운 섬과 같이 다른 대상들과 분절되어 있다. 주변 인물, 그리고 그들과 어울리고 있는 시간을 담아내면서도 말이다. 즉, 그는 대상과 대상, 그리고 그들의 관계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만들고 있는 정서적․심리적 서정성의 세계를 화면에 재현하고 있다. (<문탠(Moontan)> 시리즈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행동을 하고 있으나, 이들의 행동은 하나로 모아지지 않는다. ‘동일한’이라는 수사는 ‘상이한 혹은 개별적’이라는 수사로 대체된다. 그러면서 재현되는 것은 대상 자체가 아니라 대상들의 바깥이다. 그리고 다시 바깥은 대상으로 침투하여 대상을 재현한다.)


EAT, SLEEP, HAVE VISIONS.

박진아의 그간의 작업에서 ‘재현하는 내용’과 ‘재현하는 방식’은 일관되게 지속되고 있다. 변화가 있다면, 분할된 화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옮겨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2개 또는 4개의 화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옮겨왔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전 개인전 제목(<여가(餘暇)>, <Excursion>)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사회적 생산체계에서 무의미한 행동을 작업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것들은 특히 화면에서 미묘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인물의 행동에 의해서 구체성을 지닌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4개의 화면은 시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성과 붓 터치를 통해 회화적 차이를 드러내기에 적합했다. 그들은 하나이면서 미묘한 차이(단순히 시간뿐만 아니라 회화적인 측면에서)에 의해 하나가 아니다.

분할된 화면은 <문탠(Moontan)>연작에서 하나로 합치된다. 가운데 펼쳐져 있는 돗자리가 상징하듯 그들은 하나의 목적으로 이곳에 모였다. 그러나 박진아가 포착한 그들의 모습은 산만하다. 각자가 자신의 소소한 일에만 몰두하고 있다. 분할된 화면에서 볼 수 있었던 미묘한 차이들이 한 화면에서 다른 인물들을 통해 조합된다. 그러기에 이들의 모습은 중심에 있는 돗자리에 모이지 못하고 그 주변을 부유하고 있다. 이곳을 찾은 소기의 목적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문탠(Moontan)>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어두운 배경은 또 하나의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어두운 배경은 주변부를 차단하면서 이 상황 자체에 주목하게 한다. 인물들이 중심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하듯이, 이 공간 역시 전체의 그 어떤 곳에서 떨어져 있는, 겉돌고 있는, 부유하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박진아는 이번 전시에서 개별적 행위를 특정 행위로 제한을 둔다. 그리고 공간은 더욱 사람들이 붐비는 장소를 선택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만나고, 이야기하고, 웃고, 떠들면서 사람과 사람의 연결고리를 이어나가야 한다. 그럼에도 박진아의 그림 속 사람들은 작가가 제시한 제한된 행위를 하면서 그 시공간으로부터 일탈해 있다. <마지막 한 입>에서 화면의 중심에 있는 커다란 테이블을 따라가 보면 화면 중심에서 어떤 인물이 무언가를 막 먹으려는 순간과 마주한다. 주변 정황을 봤을 때, 많은 사람들이 머물렀다가 지나갔을 자리이다. 그러나 그 주변에는 그들의 흔적만이 있을 뿐 사람은 없다. 모든 정황은 생략되고 중심인물의 단지, 먹는 행위 자체만이 부각된다. 일상에서 벗어난 일탈적 공간과 가장 본능적 행위가 교차한다. <잠>에는 의자에 기대어 잠들어 있는 인물이 있다. 이 인물 역시 파티에서 떨어져 있다. 화면의 중심에 인물이 놓여 있지만, 이 인물은 분명 파티가 열리고 있는 공간의 구석에서 잠을 자고 있다. 공간에 놓이지 못하고 외부로 벗어나 있는 인물의 묘사는 <감나무아래 피자먹는 남자>에서도 발견된다. 감나무 아래 남자는 허겁지겁 피자를 먹고 있다. 감나무와 피자의 조합은 낯설다. 즉, 이 남자는 피자를 먹고 있는 어떤 공간에서 벗어나 있다. <프로젝터 테스트>와 <그랜드 피아노>의 인물들은 앞선 작업들과 다르게 무언가 함께 하고 있다. 그리고 시선의 방향도 일치하거나 마주보고 있다. 그러나 이 작업에서는 공간이 인물을 압도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작업에서 박진아는 공간보다는 그 속의 인물, 인물 보다는 그 행위 자체에 방점을 두었다. 그런데 이 두 작업은 공간이 인물을,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압도하고 있다. 프로젝터의 푸른빛과 화면 중심에서 관처럼 놓여 있는 그랜드 피아노가 공간 전체 정서를 만들어 낸다.

박진아는 일상적 삶의 순간을 그린다. 그러기에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쉽게 마주 할 수 있는 순간들이다. 그러나 그것은 개인적 순간으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긴 여운을 관객에게 야기한다. 그것은 그가 ‘재현하는 내용’이 아니라 ‘재현하는 방식’에 방점을 두기 때문이다. 박진아는 가장 일상적인 순간을 제시했지만, 관객은 이 순간을 통해 가장 불안한 순간을 경험할 수 도 있다. 자신의 구축한 체계에서 벗어나 있는 그 순간 말이다. 그러나 이 순간, 인간의 일상적 현실이 모습을 드러낸 유일한 순간이 아닐까?

And

DJ booth

|


 DJ Booth 01, oil on canvas, 145.5X109cm, 2007


 DJ Booth 02, oil on canvas, 122X130cm, 2007   Private Collection


 DJ, oil on canvas, 124X81cm, 2008   Private Collection

'selected paintings 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sy with eating  (0) 2009.04.27
Under Lighting  (0) 2009.04.26
Moontan  (0) 2009.04.22
into the night  (2) 2009.04.22
Lomography Series and more  (0) 2009.04.22
And

On Jina Park’s Paintings_Hyunjin Kim

|

An essay from the exhibition catalogue, Dazed & Painted:9 Korean Contemporary Painters
17 April-15 May 2008, Seomi & Tuus Gallery, Seoul
(translated from Korean)

On Jina Park’s Paintings
by Hyunjin Kim (Independent Curator)

 Artist Jina Park often draws her acquaintances and friends enjoying their time together, usually in the outdoors, in a park at nighttime, or at a party. Around 2004, the artist, by mainly using a lomo camera, presented a series of paintings that captured objects or their movements in two or four frames at a second’s interval. In her solo exhibition Excursion held at ONE AND J. Gallery in 2007, the method of showing everyday life was shifting from a divided screen to a single canvas screen.

I
t is apparent that many of her paintings are being completed condensed in the movement of a brush that moves fast and boldly. Despite showing inarticulate and slack description that is far from detailed and multidimensional, the artist expresses very well the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s an object.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t features of Jina Park’s paintings are the textures created by the stroke of a brush that is not thick but brisk, the color and the tone that are never light, the simple screen, and the simple lyricism depicted by thes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rama in Jina Park’s painting. Although the objects of painting are from the artist’s everyday life or personal encounters, she maintains well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rtist’s own feelings in the paintings, as she does not idolize a particular person with some aura or show very strong familiarity or compassion amongst the people. Instead, it is palpable that a certain objective distance is steadily maintained towards a person or many people at a party or a picnic scene. The depiction of people with no particular facial expressions as well as the indoor and outdoor background of the dark night are repeated in many paintings.  This seems t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 main character is momentarily isolated or alienated from their surroundings.

For example, The Moontan series shows a nighttime picnic at a park and reveals tranquil resonance amongst a group of people who wish to exist as playful subjects in the dark at night. Their nighttime picnic seems very individualized and somewhat distanced, because they are gathered together but doing different things. This makes them look desolate and even awkward contrary to what we would expect from an impulsive situation, a crowded party, or a picnic.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people are positio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e setting of a collective event. This series of paintings interestingly portrays the irony of coexisting relationship that is indifferent yet exists together against the broad blank space of the dark night. This seems to extend into people who are like an ‘island’ although they are gathered together, just like the artist’s artwork titled Island.

Recently the artist is working on new projec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ating. Food is fundamentally an element which adds fun to parties and social gatherings, but, in terms of appetite, the act of eating is the most pure thing to anybody. The artist pays attention to the subject’s power of concentration, exclusion from their surroundings, and the certain kind of alienation that shows strong contrast in that absolute instance, by drawing very ‘realistic’ and instinctive acts of picking up food at the moment of escaping everyday life, like at a party. The artist’s work A Park with a Pine Tree presents a woman who is absorbed in eating while holding a packet of cookies and staring far away in a rather typical academic composition. The general atmosphere that seems rather stifling is upturned by the red packet of cookies and at that moment it becomes an exit to the outside from this conventional painting. Also, she shows people who are concentrating on something near the DJ box, and the artist may be facing the momentary sincerity in the moment of deep immersion. That moment could perhaps be the experience of ‘dehors’ that forms the radical ecstasy by presenting another world we meet at that still moment, that is, by presenting immersion and alienation at the same time. We can face a certain, very strong ‘dehors’ in the very plain moment, through ‘certain’ subjects who are isolated in the midst of a crowd or who voluntarily become an island.

The scenes in the paintings of Jina Park invoke a lot of reverberations like this while being very plain. It is perhaps because those scenes are from the lives of friends and contemporaries who share a not-so-easy life and the values of life. The stroke of the artist’s brush, which plainly condenses their emotions and the textures of its everyday life with rather inarticulate description, reveals very well the textures of the young artists’ marginalized life which is relatively free and insecure at the same tim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Jina Park’s drawings is the fact that the scenes captured by the artists from very ordinary fragments of life are guiding us to the intrinsic and abundant world of recognition and experiences and the artist’s methodological expression of painting is evolving with this.

And

박진아 회화에 대하여_김현진

|
Dazed & Painted (2008.4.17~5.15, 서미앤투스, 서울)
전시도록에 실린 글

박진아 회화에 대하여

글. 김현진(독립기획자)


작가 박진아는 자기 주변의 인물들과 그들이 서로 어울리는 시간 속에 등장하는 장면들을 그림으로 옮기곤 한다. 주로 야외에서, 밤의 공원에서, 어떤 파티에서 어울리는 친구들의 모습을 많이 그리곤 하는데, 초기에는 로모 카메라를 통해서 초당 간격을 두고 두 개 혹은 네 개의 프레임으로 찍혀지는 대상의 모습이나 움직임을 담아내는 시리즈를 많이 선보였다. 2007년 작가의 개인전에서는 이러한 일상을 보여주는 방식이 분할된 화면에서 점차 하나의 캔버스 화면으로 옮겨가고 있다.


작가의 많은 회화 작품들은 꽤 빠르고 대담하게 움직이는 붓의 움직임 속에서 축약 적으로 완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이고 입체적인 묘사와는 거리가 먼 상당히 어눌하고 느슨한 묘사력을 보여줌에도 작가는 대상이 되는 인물의 성향이나 특징을 매우 잘 드러내며, 두껍게 바르지 않으면서도 시원하게 지나간 붓질이 만들어 내는 질감과 절대 가볍지 않은 색과 톤, 담박한 화면 처리, 이러한 형식적 특징을 통해 등장하는 담담한 서정성이 바로 박진아 회화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박진아의 그림 속에는 특별한 드라마들은 없다. 본인의 일상이나, 사적 교류 등에서 그림의 대상이 포착되고는 있지만 관찰자적 시선을 잘 유지하고 있어, 어떤 인물이 특히 더 아우라를 보이면서 우상화되어 등장하거나, 사람들 간에 매우 강한 친밀감을 보이거나 연민을 드러내는 등의 작가 개인의 감정이입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파티, 피크닉 장면 속에 있는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들의 모습들에 대해 꾸준히 어떤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다소 어두운 밤의 실내외 배경과 더불어 특별한 표정이 없는 인물 표현은 여러 그림 속에서 반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주가 되는 인물의 모습은 순간적으로 고립돼 있거나 주변 상황으로부터 겉돌거나 동떨어져 존재하는 듯 한 인상을 준다. 


예를 들어, <문탠> 시리즈는 공원에서의 밤 소풍을 보여주는데, 밤의 어둑한 시간 속에서도 유희적 주체로 존재하고자 하는 한 무리의 사람들과 그들 사이에서 잔잔하게 울리는 공명을 드러낸다. 이들의 밤 소풍은 사실 여럿이 함께 있지만 각자 개별적인 행동을 하고 있어 매우 독자적이고 서로 간에는 소원해 보이기까지 한다. 때문에 이들의 모습은 밤 산책을 나오게 된 충동적이고 즉흥적일 듯 한 상황이나 왁자한 파티나 소풍에서 연상되는 분위기에 비해 오히려 호젓하거나, 다소 서로 간에 머쓱하다는 인상까지 받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일종의 공동의 이벤트라는 설정 속에서도 인물들 간의 자리와 위치가 매우 독립적으로 포진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그림 시리즈는 다소 무심하지만 분명 함께하는 매우 아이러니한 공존의 관계를 넓은 여백의 어두운 밤을 배경으로 흥미롭게 완성하고 있다. 이것은 또한 작가의 또 다른 작업의 제목인 <Island>처럼 종종 옹기종기 모여도 결국 ‘섬’같은 사람들의 모습으로 이어지고 있는 듯하다.    


최근 작가는 특히 먹는 모습에 집중하여 새로운 작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음식은 근본적으로는 파티와 사교의 흥을 돋우기 위한 기본 요소이지만, 식욕이라는 측면에서 누구나에게  먹는 행위는 가장 순수한 것이기도 하다. 작가는 파티와 같이 일상을 탈출하는 순간에 오히려 음식을 집어 드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본능적인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그 순간의 한 주체가 보이는 집중력과 주변 정황으로부터의 배제, 그 절대적 찰나에 강한 대비를 보이는 어느 누군가의 모종의 괴리됨에 주목한다. 작가의 또 다른 최근 작업인 <소나무가 있는 공원>은 다소 진부해 보이는 전형적인 아카데믹한 화풍의 구도 속에 과자 봉지를 들고 먼 곳을 응시하며 먹기에 열중해 있는 한 여성을 등장시키고 있다. 다소 답답해 보이는 그림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붉은 색의 과자 봉지를 통해 전복되고 순간 상투적인 그림의 외부로 탈출하는 통로가 된다. 또한 디제이 박스에 몰려서 무엇인가에 집중한 사람들의 모습들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작가는 그러한 고도의 몰입 속에서 순간적 진정성이나 진심과 마주하고 있는지 모른다. 이 순간은 어쩌면 고도의 정지된 순간에 우리가 만나는 또 다른 세계, 즉 몰입과 괴리를 동시에 안겨줌으로써 급진적 탈존을 형성해내는 ‘바깥(dehors)'의 경험일 지도 모른다. 다수의 웅성거림 속에 고립된, 혹은 함께하면서도 스스로의 섬이 되곤 하는 ‘어떤’ 주체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지극히 평범한 순간에 매우 강렬한 어떠한 ‘바깥’과 마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박진아의 그림들 속에 담겨지는 장면들은 일면 평범하면서도 이렇듯 매우 많은 여운을 불러일으킨다. 이미 작업의 대상이 소위 녹록치 않은 제 삼의 삶의 방식들을 살아가고 그러한 삶의 가치를 공유하는 친구이자 또래의 젊은 동료들을 포함한 그들 삶의 풍경이어서인지도 모르겠다. 다소 어눌한 묘사력으로 그들의 정서와 그 일상의 질감들을 담박하게 압축하는 작가의 필치(筆致)는 이러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혹은 동시에 불안정한 삶의 궤적을 걷는 젊은 작가들의 주변적 삶의 질감들을 잘 드러내고 있다. 박진아 회회의 비범성은 다분히 일상적인 세계의 단편 속에서 작가가 포착하고 압축해낸 장면들이 우리를 일상이 스스로 내재하고 있는 풍부한 인식과 경험의 차원들로 안내한다는 데 있으며, 작가의 회화의 형식적 어법은 이와 더불어 진화하고 있다.

And
prev | 1 | 2 | next